http://blog.daum.net/sdrt21xd5r/49
건설산업 분석
Ⅰ.서론
1. 연구목적
건설산업은 건설활동 과정에서 철강, 시멘트콘크리트, 기계장비, 전기기계 등 연관산업의 산출물을 다량 사용함으로써 연관산업의 생산유발효과가 뛰어난 산업이다.
건설산업은 5조원을 투자할 경우 5만 2,00명의 건설산업 고용이 창출되고 연관산업의 고용도 3만 5,000명, 특히 제조업 고용이 1만 3,000명 유발될 것으로 예상되며, 연관산업의 생산도 5조 4,000억원, 특히 제조업 생산이 3조 6,000억원 유발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건설산업은 산출액 10억원당 고용유발인원이 18명으로 제조업 평균 13명보다 6명 더 많은 고용창출 효과를 나타내고 있고, 고용창출효과가 단기간 내에 발생하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글로벌경제위기, 유럽발경제위기가 가져온 최근의 경제침체를 회복 시키기 위해서는 내수를 회복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산업은 물론 연관산업의 파급효과가 높은 건설투자가 절실한 상황이다.
또한 플랜트 산업은 지속가능하며 대규모 부가가치를 받는 산업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많은 국내기업들이 이를 주목하고 있다. 풍력, 화력, 원자력 발전소, 해수담수화 등 대규모의 설비와 자본을 요하는 산업으로 수주시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는 산업이다. 최근 들어 건설산업은 IT기술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해 기존의 전통적인 건설산업에서 고부가가치 건설산업으로 넘어가고 있다.
Ⅰ.서론
1. 연구목적
2. 국문요약
3. 영문요약
Ⅱ. 본론
1. 건설산업
(1) 개요
(2) 건설산업의 특징
(3) 건설산업의 종류
(4) 전후방 연관산업
2. 국내 산업 분석
(1) 개관
(2) 국내 건설 산업 동향
(3) 국내 건설 산업의 위상
3. 세계 산업 분석
(1) 세계 건설산업 현황
(2) 세계 건설산업 주요업체 동향
(3) 세계 건설산업의 트렌드
(4) 산업의 이슈
4. 건설산업의 종합평가 및 전망
(1) 국내건설산업 평가
(2) 산업 전망
5. 건설 산업 발전을 위한 과제
Ⅲ. 결론
그림 목차
<그림 1> 건설산업의 전방연관효과
<그림 2> 건설산업의 전방연관효과
<그림 3> 국내 건설 수주 현황
<그림 4> GDP 대비 건설투자 비중 추이
<그림 5> 해외 건설 수주 추이
<그림 6> 국내 건설사들의 순위 변동 현황
<그림 7> 해외건설시장의 지역 비중 변화
<그림 8> 세계 건설 산업 공종별 구성
<그림 9> 건설업의 E-Business
<그림 10> 글로벌 기업의 건축 및 토목 매출 비중
<그림 11> 법제도와 수급자의 역할 분담
표 목차
<표 1> GDP 내 건설업 생산비중 (당해년가격)
<표 2> 최근 국내 건설수주 동향
<표 3> 국내 건설투자 추이
<표 4> 해외 건설 수주 현황
<표 5> 2006~2011년 지역별 해외 건설 수주
<표 6> 공종별 해외 건설 수주 추이
<표 7> 산업별 취업자 현황
<표 8> 자국외 매출 기준 국내 건설사 세계 순위
<표 9> 세계 건설시장 규모 (억 달러)
<표 10> 자국 외 매출 기준 세계 10대 상위 기업
<표 11> 전체 매출 기준 세계 10대 상위 기업
<표 12> 선진국 대비 국내 플랜트 건설 기술수준
<표 13> 국내외 주요 해외건설 업체의 영업이익률 (2005~2010년 평균)
<표 14> 우리나라 건설기술 분야 SWOT 분석
<표 15> 2012년 건설수주 전망
<표 16> 2012년 건설투자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