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챗 : speedseoul
두 달 전 처음으로 스마트폰을 구매해 사용하게 된 L씨는 얼마 전 일주일간 해외 출장을 다녀 온 뒤 스마트폰 사용요금 내역서를 보고 깜짝 놀랐다. 평소 6~7만 원이던 요금이 그 10배인 70여만 원을 훌쩍 넘었기 때문이다. 해외 전화 통화가 비싸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 잠깐 잠깐 통화했을 뿐이라 뭔가 잘못 정산됐으리라 판단하고 통신사 고객센터를 방문했다. ‘요금 폭탄’의 장본인은 다름 아닌 ‘스마트폰용 데이터 해외 로밍 서비스’였다. 센터 직원의 설명을 듣고 나서야 스마트폰과 기존 휴대폰의 로밍 서비스의 차이에 대해 알게 됐고, 로밍 서비스가 꼭 필요한 경우 스마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도 배웠다.
휴대폰/스마트폰 로밍 서비스(Roaming service)는 간단히 말해, 자신의 전화기로 해외에서도 국내처럼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한 통신 중계 서비스다. 즉 서로 다른 통신사(혹은 나라)의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하더라도 통신이 중단/단절되지 않도록 유지해 주는 서비스인 것이다.
일반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출국 전 공항에 있는 각 통신사 로밍 센터를 방문해 자신이 방문하려는 국가가 휴대폰/스마트폰 자동 로밍(하단 박스 참고)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게 좋다. 자동 로밍을 지원한다면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현지 입국 후 휴대폰/스마트폰의 전원을 껐다 다시 켜는 것만으로 로밍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로밍 서비스가 적용되면 국내에서 사용하는 번호 그대로 해외에서도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다. 물론 통화 요금은 국내 기준보다 비싸긴 하다. 일반적으로 통화 시간 1분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각 통신사마다 또는 서비스 국가마다 과금 정도가 약간씩 다르니 로밍 통화 전 요금제를 한 번쯤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해외 로밍 서비스는 국내 통신사와 현지의 통신사가 제휴하여 제공되는데, 해당 국가에 별도의 통신사가 없다거나, 있더라도 양 국가 간 로밍 서비스를 제휴할 수 없다면 로밍 서비스가 불가능하다. 남극 지역이나 북한, 미얀마 등이 대표적인 예다. 또한 아메리카 대륙의 몇몇 국가들과 같이, 우리나라와 로밍 서비스 주파수가 달라도 로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로밍 서비스 가능 국가는 각 통신사 홈페이지에서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자동 로밍과 임대 로밍
자동 로밍은 국내와 외국의 통신 주파수가 일치하고 양국의 통신사 간의 로밍 서비스 제휴가 이루어진 경우에 해당된다. 복잡하고 번거로운 설정 없이 해외 현지에서 그저 휴대폰/스마트폰의 전원을 껐다 켜면 해당 국가의 통신사 신호를 바로 잡아 로밍 서비스가 자동으로 제공되는 방식이다.
반면 임대 로밍은 자동 로밍이 불가능한 국가의 경우 해당 국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을 따로 임대 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출국 전 각 통신사 로밍 센터에 임대 로밍을 신청하면 별도 휴대폰을 지급받게 되며, 통화요금 외에 추가 대여료가 부과된다(약 2,000원 정도). 자동착신서비스까지 신청하면 자신이 사용하던 번호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 휴대폰은 로밍 서비스 신청 후 전화통화만 신경 쓰면 요금 폭탄을 맞을 일은 거의 없다. 문제는 요즘 인기인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PC)이다. 스마트폰은 전화통화 요금 이외에 ‘데이터 요금’이라는 복병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흔히 말하는 ‘3G 데이터 통신’이 그것인데, 국내에서는 언제 어디서든 스마트폰을 통해 저렴하게(또는 무제한 요금제 가입 시 요금 제한 없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어 편리하다.
하지만 해외에 나가서 국내처럼 무턱대고 3G 통신을 '콸콸콸~' 사용하다가는 요금 직격탄을 맞게 된다. 3G 통신에 연결되는 어플(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정보 갱신/업데이트되는 어플(예, 날씨, 뉴스, 주식 관련 어플 등)의 경우 데이터 요금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행여 영상통화라도 연결하는 날엔 사실상 통신사 직원이라도 답이 안나온다.
그럼 스마트폰 사용자는 어떤 형태의 로밍 서비스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할까? 그리고 로밍 요금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앞서 언급한 대로, 스마트폰의 전체 요금은 전화 통화 요금과 데이터 이용 요금으로 나뉜다. 로밍 서비스 요금도 마찬가지다. 우선 전화통화 로밍 서비스는 음성 로밍, 영상 로밍, SMS(단문메시지) 로밍으로 구성되는데, 이 세 가지 모두를 묶어서 로밍되는 게 일반적이다. 음성 통화보다는 영상 통화가 곱절 이상 비싸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전화를 받아도 로밍 요금이 부과됨을 명심해야 한다(물론 걸 때 보다는 저렴하다). 참고로 해외 로밍 서비스가 적용된 번호로 전화를 걸면, 현재 로밍 서비스 중이라는 안내 메시지가 나온다. 꼭 전달해야 할 내용이 아니라면 통화하지 않는 게 발신자, 수신자 모두에게 유리하다.
한편 데이터 로밍 서비스는 해외에서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에서 사용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하지만 이용 패킷(512바이트) 당 4.55원으로 부과된다. 이를 1MB(1,048,576바이트)로 환산하면 무려 약 9,300원 정도가 된다. 즉 2MB 용량의 첨부 파일이 든 메일 하나를 발신하면 얼추 2만 원 정도가 부과되는 셈이다. 그러니 만약 수십 MB대의 동영상/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무의식적으로 사용했다간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아울러 SMS 이외의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송수신 시에도 국내보다 비싼 요금이 부과되니 과도한 메시지 발송은 삼가는 게 좋다(SKT T로밍의 경우 국가에 따라 건당 150~300원).